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경제 > 경제
경제

비트코인, 미중 관세전쟁 확전 우려에 급락…8만달러 턱걸이

   

중국 보복관세 부과 개시…"거시경제 불안이 가상자산 짓눌러"

2025.03.10 13:5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769f6f2a46bc19009d188fc22250cd1b_1741582373_69.jpg 

비트코인 로고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전쟁 확전 우려 등의 영향으로 큰 폭의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가상화폐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9일 오후 8 45(미 동부시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6.6% 내린 8511달러에 거래됐다.


앞서 이날 오후 8 35분께는 8123달러까지 내리기도 했다.


이는 지난달 28일 기록한 78100달러대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같은 시간 이더리움은 하루 전보다 8.5% 내린 216달러에 거래됐고, 리플과 솔라나도 각각 9.3%, 8.7% 급락했다.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지난 7일 열린 '디지털 자산 서밋' 행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상화폐 산업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을 예고한 바 있다.


하지만 미 정부가 세금으로 가상화폐를 구매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발표 등이 정부의 직접 매입을 기대했던 시장에 일부 실망감을 안겼다.


이달 들어 반등해 지난 6 92천달러대까지 올랐던 비트코인 가격은 7 85천달러대로 하락했다.


이에 더해 미국의 관세 정책과 상대국의 보복관세 부과 등 거시경제에 대한 우려가 비트코인 약세를 더 부채질하고 있다고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이날 전했다.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10+10% 관세 인상'에 맞서 10 0(중국 현지시간)부터 미국산 농·축산물에 '2차 보복 관세'를 매기기 시작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과거 1기 때와 같은 미중 관세 전쟁이 재발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기간 '60% ()중국 관세'를 공언해온 만큼 양국 간 분쟁이 앞으로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가상화폐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채권 시장의 경기침체 신호와 함께 미중 관세 전쟁의 전개가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비축 발표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상화폐시장 조사업체 인투더블록은 최근 뉴스레터에서 "관세 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화폐 관련 정책에 대한 관심은 점점 밀려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상화폐와 거시경제 전문 분석가인 노엘 애치슨은 전날 발표한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발표 이후에도 침체한 비트코인 가격 움직임은 거시경제에 대한 우려가 가상자산들을 얼마나 무겁게 짓누르고 있는지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방영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경기침체(recession)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그런 것에 대해 예상하는 것을 싫어한다"면서 "(이런 일에는) 과도기(transition)가 있다. 우리가 하는 것은 부()를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는 큰일이며 이것은 시간이 조금 걸린다"고 말했다.

| 임미나 특파원

기사에 대한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