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비롯한 제조업에서의 사모펀드 기업사냥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사모펀드의 직접적인 경영 개입 제한이 필요하다고 정부 등에 건의했다.
시는 3일 보도자료를 내고 "창원국가산업단지 두산공작기계를 비롯한 제조업에 근간을 둔 창원의 많은 기업이 사모펀드의 먹잇감이 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시는 정부와 여당에 전달한 건의문을 공개하며 특히 공작기계 부문 국내 1위 기업인 두산공작기계 사례를 언급했다.
시는 "국가핵심기술 보호조치 사업장인 두산공작기계는 2016년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1조1천308억원에 매각됐다"며 "MBK파트너스는 인수자금 중 4천400억원을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는 차입금으로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수 이후 두 차례에 걸친 자본재조정을 통해 투자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회수했고, 5년 동안 당기순이익보다 많은 5천367억원을 배당이라는 이름으로 가져갔다"고 꼬집었다.
이어 "공작기계의 산업특성상 끊임없는 연구개발(R&D) 투자가 필요함에도 MBK파트너스는 두산공작기계 인수 이후 주주배당, 금융비용 등 이익 실현에만 집중했다"며 "그 사이 두산공작기계의 부채비율은 2016년 149%에서 올해 269%까지 치솟는 등 부실기업 위기에 내몰렸다"고 덧붙였다.
또 "기업의 장기 운영보다는 단기 투자수익과 매각차익을 추구해온 사모펀드는 똑같은 방식으로 공작기계사업과 직접 연관이 없는 자동차 부품사업을 하는 소규모 자본에 두산공작기계 재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며 "자본력이 튼튼하지 않은 인수업체는 회사채 발행과 투자자 확보 등을 통해 과다한 차입경영을 하겠다고 한다"고 우려했다.
시는 "지역사회에서는 투기자본의 기업 운영방식으로 인한 기술인재의 유출, 고용불안을 걱정한다"며 "두산공작기계와 같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사업장에 사모펀드의 이익금이 생산설비 또는 R&D 투자에 환원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