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경제 > 산업/기업
산업/기업

정규직 줄고 기간제 늘고…은행권 '고용의 질' 나빠졌다

   

리더스인덱스 조사…IT·전기전자는 고른 성장세

2022.12.13 11:0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dc762d53d7e66d9041a1b1b96989da01_1670896802_1484.jpeg
 

국내 대기업의 정규직 일자리가 정체를 겪는 반면 기간제 고용인원이 큰 폭으로 늘면서 고용의 질이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계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매출액 규모 500대 기업 중 352개 기업의 고용인원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이들 기업의 전체 고용인원은 1358356명으로 작년 말(1329271)보다 2.2%(29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조사대상 기업의 고용인원 중 정규직은 1235155명에서 1248998명으로 1.1%(13843) 증가했다.


반면 기간제 직원은 82744명에서 97573명으로 17.9%(148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임원 수는 3.6%(413) 증가했다.


특히 은행 업종에서 기간제 직원이 많이 늘어났다.


은행지주를 포함한 13개 은행 중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을 제외한 12개 은행이 정규직을 줄이고 기간제 직원을 늘렸다.

 

올해 들어 9월까지 은행업종의 전체 고용인원은 3.3%(2859) 감소했다. 정규직은 4409명 줄었으며, 기간제 직원은 1518명 증가했다.

 

정규직을 가장 많이 줄인 은행은 한국씨티은행이었다.


한국씨티은행의 정규직은 작년 말 340명에서 올해 9월 말 255명으로 59.9%(985) 급감했다. 기간제 직원은 725명 늘었다.


국민은행은 같은 기간 정규직이 127명 줄었으나 기간제 직원은 627명 늘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업종에서도 이런 추세가 두드러졌다.


이들 업종 27개 기업에서는 정규직이 1854명이 줄고 기간제 직원이 1768명 늘어났다.


현대자동차[005380]는 이 기간 정규직이 1948명 줄었고 기간제 직원은 906명 늘었다.


기아[000270]는 정규직에서 378명이 줄었고 기간제에서 225명이 늘어났다.


정규직과 기간제 직원이 모두 증가한 곳은 IT·전기전자 업종이었다.


IT·전기전자 업종 28개 기업의 근로자 수는 작년 말 281503명에서 올해 9월 말 297772명으로 5.8%(16269) 증가했다.


삼성전자[005930] 4419명 늘어 가장 많은 인원이 증가했다.

 

이어 LG이노텍[011070] 3367(정규직 1847, 기간제 1520), LG디스플레이[034220] 2229(정규직 1777, 기간제 452) 등 순이었다.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고용인원이 9개월 새 6761명이 늘었다. 정규직에서는 5982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김기훈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