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李정부 화해 손길 뿌리친 北…남북관계 앞날 예상대로 '험로'

   

대북전단 말리고 대북방송 중단했지만…김여정 "선임자와 다를 바 없어"

2025.07.28 10:01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李정부 화해 손길 뿌리친 北…남북관계 앞날 예상대로 '험로'

 2025-07-28 

대북전단 말리고 대북방송 중단했지만…김여정 "선임자와 다를 바 없어"
'한미동맹 맹신·대결기도 여전' 지적…한미연합연습 축소 압박 해석도

PYH2023122702520004200_P4.jpg
김정은, 2023년 말 전원회의에서 '적대적 두 개 국가 관계' 선언

2023.12.27 [조선중앙TV 화면.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원본프리뷰

 북한이 이재명 정부의 잇단 대북 화해 제스처를 평가 절하하며 "마주 앉을 일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반도 긴장완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향한 새 정부의 시도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지만, 북한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규정한 상황에서 애초부터 신속한 화답을 기대하긴 어려웠던터라 실망하기는 이르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28일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면서 "한국과 마주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단언했다.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북한의 첫 반응이다. 김여정 부부장은 이를 '공식입장'이라고 못박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중이 들어있다는 의미다.

김 부부장은 새 정부의 대북 확성기방송 중단, 전단살포 중지, 개별관광 허용 등을 열거하며 '성의있는 노력'이라고 언급하긴 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취임사에서 언급한 "이제 강 대 강의 시간을 끝내고, 선 대 선의 시간으로 바꿔야 한다"거나 "적대와 대결의 시간을 뒤로 하고 다시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가자"고 한 것도 짚었다.

그러나 김 부부장은 이에 대해 "한국이 이제 와서 스스로 자초한 모든 결과를 감상적인 말 몇마디로 뒤집을수 있다고 기대하였다면 그 이상 엄청난 오산은 없을 것"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대북방송 중단에 대해서도 "스스로 초래한 문제거리들"에 대한 조처일 뿐,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된다"고 지적했다.

오는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헛된 망상"이라고 일축했다.

PYH2024081911570006100_P4.jpg
지난해 한미 정례 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 당시 평택 캠프 험프리스 미군기지의 아파치 헬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4.8.19 

원본프리뷰

김 부부장은 특히 이재명 정부가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남쪽 국경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합동군사연습의 련속적인 강행으로 초연이 걷힐 날이 없을 것"이며 한미는 정세악화의 책임을 북한에 전가하려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미연합연습을 이재명 정부가 전임과 다를 바 없음을 확인한 사례로 든 것으로, 바꿔서 보면 한국에 내달 중순부터 시행 예정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연합연습의 축소·연기를 압박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어 보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북한이 이재명 정부가 이전 정부에서 변하지 않았다는 근거로 한미동맹을 꼽고, 대적관계의 상징으로 한미군사훈련을 거론했다"며 "다음달 한미연합훈련이 남북관계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부부장은 또 새 정부에서 검토하는 '통일부' 명칭 변경 문제를 염두에 둔듯 "해체되여야 할 통일부의 정상화를 시대적 과제로 내세운 것을 보아도 확실히 흡수통일이라는 망령에 정신적으로 포로됐다"고도 지적했다.

한편 김여정의 담화는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만 실렸을 뿐 주민들이 볼 수 있는 노동신문 등 대내매체는 보도하지 않았다.

PYH2022081117630004200_P4.jpg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조선중앙TV 화면] 2022.8.11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원본프리뷰

(끝)

| 박상민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정몽준 아산정책연 명예이사장 "일본, 나머지 반잔 채워야"

10.15 | 서순복 기자

해병특검, 오동운 공수처장·차장 직무유기 수사…압수수색

10.15 | 서순복 기자

국방부 '내란극복 특별자문위' 출범…연말까지 개혁안 제시

09.30 | 서순복 기자

정부, 日조세이 탄광 희생자유족 만나…"유전자 직접 검사 논의"

09.15 | 강요셉 기자

'55일 도주' 삼부 주가조작 이기훈, 두번째 구속심사는 포기

09.12 | 서순복 기자

송언석 "與, 일당독재 폭주 멈추라…李정부 100일 혼용무도"

09.10 | 강요셉 기자

李대통령, 내일 '취임 100일 회견'…한미관계·검찰개혁 등 주목

09.10 | 서순복 기자

구금 엿새만에…"자진출국 형식 美시각 10일 오후 전세기 출발"

09.10 | 강요셉 기자

APEC 경호·경비 물샐틈 없이…경찰 기동경호 요원 경주서 훈련

09.10 | 강요셉 기자

與 "尹국정원, 특정 세력의 정치적 칼로 전락…조사·수사 필요"

09.04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