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계엄 사태 겪은 경찰, 중견간부 '헌법교육' 강화

   

경찰청, 경찰대에 새 커리큘럼 수립 요청

2025.01.10 09:49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9ecdf2c79c6a154e1ffc730e3fb182d8_1736470116_2939.jpg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한 4일 새벽 국회 앞에서 시민들이 국회 출입을 통제하는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경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중견 간부들의 헌법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10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지난 7일 경찰대학에 "총경 교육과정에서 헌법과 직업윤리 부문을 강화한 새 커리큘럼을 수립해달라"고 요청했다.

일선 경찰서장급인 총경 교육은 승진 직후 24주간 받는 '치안정책 과정'과 2년 주기로 2주간 받는 '지휘역량향상 과정'으로 나뉜다.

새로운 커리큘럼에서는 헌법과 직업윤리와 관련한 교과목 비중이 늘어날 예정이다.

이 같은 변화는 불법적인 계엄 집행에 동조한 혐의로 경찰 서열 1·2위인 경찰청장과 서울경찰청장이 구속기소 되고, 간부들이 줄줄이 조사 대상이 된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헌법 교과목의 경우 기존에도 계엄에 대한 내용을 짚긴 했지만, 현실성이 극히 낮다 보니 비중 있는 교육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평가다.

직업윤리와 관련해 경찰 관계자는 "이미 벌어진 일인 만큼 교훈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헌법과 법률에 반하는 명령에 따르는 것이 맞는지, 이번 사태가 마무리된 뒤 사례 분석을 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헌법과 직업윤리 교육 강화 취지에 공감하지만, 교육만으로 실제 위헌적, 위법적인 명령에 따르지 않을지는 의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일선서장은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스스로 위법적인 명령을 거부할 수 있을지 매일 고민하고 있다"며 "여전히 답을 모르겠다"고 했다.

| 홍준석 기자

, ,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정몽준 아산정책연 명예이사장 "일본, 나머지 반잔 채워야"

10.15 | 서순복 기자

해병특검, 오동운 공수처장·차장 직무유기 수사…압수수색

10.15 | 서순복 기자

국방부 '내란극복 특별자문위' 출범…연말까지 개혁안 제시

09.30 | 서순복 기자

정부, 日조세이 탄광 희생자유족 만나…"유전자 직접 검사 논의"

09.15 | 강요셉 기자

'55일 도주' 삼부 주가조작 이기훈, 두번째 구속심사는 포기

09.12 | 서순복 기자

송언석 "與, 일당독재 폭주 멈추라…李정부 100일 혼용무도"

09.10 | 강요셉 기자

李대통령, 내일 '취임 100일 회견'…한미관계·검찰개혁 등 주목

09.10 | 서순복 기자

구금 엿새만에…"자진출국 형식 美시각 10일 오후 전세기 출발"

09.10 | 강요셉 기자

APEC 경호·경비 물샐틈 없이…경찰 기동경호 요원 경주서 훈련

09.10 | 강요셉 기자

與 "尹국정원, 특정 세력의 정치적 칼로 전락…조사·수사 필요"

09.04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