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후 대전 서구 배재대 스포렉스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당 대표 후보가 당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당권 레이스가 일찌감치 '확대명'(이재명 후보의 연임 확실)으로 굳어지면서 당내 관심은 '이재명 2기 체제'의 성격으로 옮겨가는 분위기다.
이 후보는 총 17차례의 지역 순회경선 중 16번의 경선을 마친 12일 현재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 누적 득표율 89.21%로 압도적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서울 경선(17일)과 전당대회(18일)만 남겨뒀지만, 이변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 후보가 예상대로 '싱거운 승부'를 끝내고 나면 두 번째 대표 임기를 시작하는데, 이때 당 운영을 어떤 기조로 가져갈지 주목된다.
일단 이 후보가 전당대회 출마 선언부터 '먹사니즘'을 키워드로 민생·경제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만큼, 대표 취임 직후에도 이런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후보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전당대회가 끝나지 않아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민생을 중심으로 한 메시지와 행보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민생 문제 해결을 넘어 '에너지 고속도로' 등 비전을 담았던 이 후보의 전당대회 출마 선언문이 대권 도전 선언문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대권 주자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민주당의 수권정당 면모를 부각하겠다는 것이다.
이 후보가 이런 기조로 당을 이끌 경우 현재 민주당이 대대적으로 추진 중인 특검·국정조사와 어떻게 균형을 잡을지가 관건이다.
이 후보가 민생을 외치더라도 당 차원에서 '채상병 특검', '김건희 여사 특검' 등을 전면에 내세우면 결국 '민생보다 정쟁에 몰두한다'는 프레임이 부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후보 측 한 인사는 통화에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특검법을 어떻게든 관철해 내는 것도 핵심 과제"라며 "국정농단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가 내세운 '먹사니즘'을 민주당이 추진하는 '국민 1인당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각종 특검과 국정조사는 그것대로 추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후보가 대표 취임 이후 주요 당직 인선을 통해 어떤 성격으로 새 진용을 갖추게 될지도 관심사다.
이 후보가 전당대회 내내 90% 가까운 득표율을 올리고, 최고위원 후보들도 '명심(明心·이재명의 의중) 마케팅'을 벌인 이면에는 '친명(친이재명) 일극 체제'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요 당직을 임명하더라도 친명 일색으로 친정 체제를 강화하기보다는, 당내 '탕평'을 염두에 둔 인선을 하지 않겠냐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일각에선 이 후보가 최근 친문(친문재인)계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복권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요청했다고 주장한 점 역시 비슷한 맥락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