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4일(금)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고발사주' 자료검색·증거인멸 의혹 검사, 재판서 증언거부

   

"피고발 사건 계류 중…오해 살 수 있어 증언 않겠다"

2023.10.23 14:0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09865c1bf58ef9143e3f10aec0465689_1698037404_8881.jpg
 '고발사주 의혹'으로 재판에 넘겨진 손준성 서울고검 송무부장이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속행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윗선의 지시로 자료를 검색하고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심을 받는 검사가 관련 재판에 증인으로 나와 증언을 일절 거부했다.


전직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실(수정관실) 연구관인 임홍석 창원지검 검사는 2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김옥곤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손준성 검사장의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 공판에 출석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손 검사장 양측의 신문에 "증언하지 않겠다"고 거듭 답했다.


임 검사는 신문에 앞서 "이 사건 피의자로 입건됐다가 불기소 처분받았고, 증거인멸 혐의로 별도 고발돼 사건이 공수처에 계류 중"이라며 증언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형사소송법에 따라 증인은 자신이 기소되거나 유죄 판결을 받을 사실이 드러날 염려가 있을 경우 증언을 거부할 수 있다.


이후 임 검사는 약 2시간 동안 수정관실에서 일하며 판결문 등 자료를 검색한 경위, 손 검사장(당시 수사정보정책관) 등 윗선의 지시 여부, 고발사주 의혹이 보도된 후 수정관실 PC를 포맷한 사실이 있는지 등에 관해 질문받았지만 구체적 증언을 내놓지 않았다.


재판부는 "증언 거부 사유가 있다고 해서 모두가 거부할 수 있는 것은 아니잖나"라며 "검사라는 증인의 신분에 비춰보더라도 가급적 사실을 밝혀주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에 임 검사는 "공개 법정에서 진술한 내용이 오해를 사거나 잘못된 보도로 이어질 경우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증언 거부권을 계속 행사하겠다고 답했다.


임 검사는 수정관실 소속이던 2020 4월 손 검사장 등의 지시로 '채널A 강요미수 사건' 의혹의 제보자인 지모씨의 실명 판결문 등을 검색해 보고했다는 의심을 받아 입건됐지만 공수처는 불기소 처분했다.


올해 1월에는 더불어민주당이 그가 2021년 고발사주 의혹이 처음 보도된 날 수정관실 PC의 하드디스크를 포맷했다고 주장하며 증거인멸 등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


고발 사주 의혹은 2020 4·15총선을 2주 정도 앞두고 검찰이 당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의원 후보였던 최강욱 전 의원과 유시민 당시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범여권 인사에 대한 고발을 사주했다는 내용이다.


손 검사장은 최 전 의원 등에 대한 고발장과 실명 판결문 이미지를 국민의힘 김웅 의원에게 텔레그램으로 전달한 혐의(공무상비밀누설 등)로 작년 5월 기소됐다.

| 이영섭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정몽준 아산정책연 명예이사장 "일본, 나머지 반잔 채워야"

10.15 | 서순복 기자

해병특검, 오동운 공수처장·차장 직무유기 수사…압수수색

10.15 | 서순복 기자

국방부 '내란극복 특별자문위' 출범…연말까지 개혁안 제시

09.30 | 서순복 기자

정부, 日조세이 탄광 희생자유족 만나…"유전자 직접 검사 논의"

09.15 | 강요셉 기자

'55일 도주' 삼부 주가조작 이기훈, 두번째 구속심사는 포기

09.12 | 서순복 기자

송언석 "與, 일당독재 폭주 멈추라…李정부 100일 혼용무도"

09.10 | 강요셉 기자

李대통령, 내일 '취임 100일 회견'…한미관계·검찰개혁 등 주목

09.10 | 서순복 기자

구금 엿새만에…"자진출국 형식 美시각 10일 오후 전세기 출발"

09.10 | 강요셉 기자

APEC 경호·경비 물샐틈 없이…경찰 기동경호 요원 경주서 훈련

09.10 | 강요셉 기자

與 "尹국정원, 특정 세력의 정치적 칼로 전락…조사·수사 필요"

09.04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