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두고 시대착오적이고 최악이라며 연이틀 맹비난을 이어갔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소위 자유와 인권을 공유하는 일본과의 군사협력 강화를 선언하는 경축사가 낭독됐다"며 "역사의 수레바퀴를 해방 이전으로 돌리는 패착을 정부가 더 이상 두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영교 최고위원은 "과거사 언급 없이 일본은 파트너이고 민주주의 운동가는 공산 전체주의 세력이라고 말했다"며 "윤 대통령의 묻지마식 친일 기조가 그대로 드러나고 국민을 편 가르기 한 최악의 광복절 기념사"라고 혹평했다.
이어 "어떤 이들은 대통령의 기념사가 아닌 극우 유튜버의 독백이라고까지 한다"며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자성 촉구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지적은 한마디도 없었다. 대통령 자격 없는 기념사"라고 덧붙였다.
정청래 최고위원도 "광복절날 우리 대통령이 일본에 사과와 반성을 요구하는 대신 일본은 공동 이익의 파트너라고 추켜세웠다. 광복절날 이게 할 말이냐"며 "정신 똑바로 차리고 제2의 매국을 막아내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경태 최고위원 역시 "대한민국 패전일인 줄 알았다. 우리는 한마디도 못 하고 오히려 일본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의기양양했다"며 "치욕의 연설로 기록될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SBS 라디오에 출연해서도 "광복절이 아니라 굴복절인가 싶은 정도였고, 현실 인식 자체가 너무 극우 유튜브만 보시는 게 아닌가"라고도 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삼권분립의 헌법 정신을 부정하고 법치로 포장한 법 기술로 민주주의를 무너뜨리는 자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질 위치에 있으면서 무대책·무능력·무책임으로 일관하고 국민의 이익보다 권력의 이익을 우선하는 자들이 바로 반국가세력"이라고 반박했다.
박성준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비공개 최고위 논의 내용을 전하며 "국민 갈라치기, 색깔론의 시대착오적이고 빈곤한 역사관과 편협한 남북 관계 인식, 묻지마 친일 기조, 역대 최악의 광복절 기념사라는 평가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송기헌 원내수석부대표는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의 사회, 정치,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이 너무 현재와 맞지 않고1970∼1980년대의 사회, 남북관계, 국제관계를 기초로 한 게 아닌가"라며 "그 이전의 시대로 대한민국을 끌고 가려는 것 아닌가"라고 우려했다.
전재수 의원도 YTN 라디오에서 "벼락 맞은 기분으로, 너무 황당해서 머리가 번쩍 깨는 경우"라며 "1970∼1980년대 극단적 냉전 시대의 언어와 논리, 그때의 역사 인식에 머무른 광복절 경축사"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