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여당인 국민의힘을 넘어 김진표 국회의장마저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나섰다.
예고한 대로 오는 24일 본회의에서 국정조사계획서를 원만하게 처리하려면 김 의장의 '협조'가 필수라는 점에서다.
민주당이 연일 국정조사 강공 드라이브를 거는 데에는 정의당·기본소득당과 '연대'를 형성한 것은 물론 여론도 국정조사 실시에 긍정적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 회의에서 김 의장을 향해 "교섭단체 대표들에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명단 제출을 공식 요청해달라"고 공식 요구했다. 요청 시한은 '이번 주 내'로 못 박았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위원 명단을 미리 준비해서 의장의 요청이 접수되는 즉시 제출하겠다"며 "국민의힘도 이제라도 진실을 규명하는 국정조사에 동참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이상민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헌법에 있는 국정조사를 거부하는 의도가 매우 의심스럽다. 진상이 밝혀지는 게 두려운 것 아닌가"라며 국민의힘을 정면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 논란과 관련해 사전 유가족 동의가 부재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도, 당국이 당초 희생자 명단을 은폐하려 했다며 화살을 정부로 돌렸다.
박성준 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의 입장은, 명단은 공개해야 하나 유가족이 원치 않으면 (그 뜻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가 희생자를 보도하지 말라는 준칙을 내렸다. 희생자를 공개하지 않고 은폐하는 것이 맞느냐"며 "그간 언론의 참사 보도에서 희생자가 누군지 가리고 보도한 사례가 있느냐"고 말했다.
민주당은 희생자 명단 공개와 관련, 여권 일각에서 '민주당 배후설'을 제기한 것을 두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상민 의원은 라디오에서 " 민주당이 배후에 있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며 "근거를 제시하든지, 그냥 무차별적으로 낙인찍어서 상대방을 상처 내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이석현 전 의원은 SNS에 "10.29 참사 희생자의 명단이 밝혀졌다고 범죄시하는 걸 이해할 수 없다. 정보공개? 유가족 의견? 그런 논리라면 세월호나 9.11 명단도 지워야하는가"라고 올렸다가 논란을 불렀다.
이 전 의원은 해당 게시물에 '유가족이 싫다는데 무슨 역사적 참사를 운운하나요'라는 댓글이 달리자 "유가족 전원에게 물어보았나요?"라며 맞댓글을 달기도 했다.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 인사들에 대한 검찰 수사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서영교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검찰은 야당을 정치적으로 탄압하고 사냥하려고 하고 있다. 수사하려면 팩트를, 증거를 가지고 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만 당내에선 이 대표 측근 인사들의 사법 리스크까지 당이 전면 대응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지적도 계속됐다.
이상민 의원은 "김용 씨나 정진상 씨나 억울하다면 본인들이 대응하면 될 일"이라며 "당이 전면으로 나서 이들을 엄호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