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김포 신규택지 조성계획에 맞춰 서울 지하철 5호선을 경기도 김포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김태우 강서구청장, 김병수 김포시장과 함께 '서울 5호선 김포 연장(방화역∼김포)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세 지자체는 수도권 서북부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한 과제로 5호선 김포 연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 검토사업'으로 반영된 5호선 김포 연장사업이 '신규사업'으로 수정돼 사업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은 국토교통부가 이날 발표한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조성계획과 맞물린다. 신규택지 조성과 함께 수도권 서북부 지역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도록 세 지자체가 힘을 모으기로 한 것이다.
김포 방면 5호선 연장을 위한 관계기관 논의는 김포시의 주도로 2017년부터 시작됐으나 그간 의견 차이로 인해 답보 상태에 있었다.
주된 쟁점은 방화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 등을 이전하는 문제였다. 서울시는 5호선 종점 방화역에 있는 차량기지와 인근 건폐장의 건설폐기물 처리업체를 김포로 이전해야 5호선을 연장할 수 있다는 조건을 제시했으나, 김포시는 주민 반발 등을 우려하며 난색을 보여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세 지자체는 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이전에 원칙적으로 합의하고, 이 문제에 관한 세부 논의를 전향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건설폐기물 처리업체는 인수·합병과 폐업 유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노선과 비용 분담 방안 등 세 지자체 간 협의가 마무리되면 국토부는 이 사업을 2023년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 절차를 진행한다.
시 관계자는 "방화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이전이 확정되면 사업 타당성이 확보될 전망"이라며 "지자체 시행 광역철도 사업으로 추진돼 서울과 김포가 각각 해당하는 지역 구간에 대한 비용을 분담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노선 연장은 평면 환승이 아닌 직결이 될 전망이다. 평면 환승은 철도를 갈아탈 때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필요 없이 곧바로 맞은편 플랫폼으로 이동하면 되는 구조를 말하며, 직결은 철로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시 관계자는 "연장 공사나 차량기지 이전, 혼잡도 완화를 위한 차량 증차 등으로 인한 비용을 경기도나 김포시에서 부담한다는 조건이 충족되면 직결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세훈 시장은 협약식에서 "그동안 50만 김포시민을 비롯한 수도권 서북부 주민은 혼잡도가 최고 285%를 웃도는 김포 골드라인, 그리고 혼잡한 일산대교와 김포대교를 이동하느라 '출퇴근 지옥'을 경험했고 안전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번 협약으로 5호선 연장이 속도감 있게 진행되면 수도권 교통편의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고 균형발전의 역사를 만들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병수 시장은 "김포가 서울에서 가깝고 수도권에서 중요한 위치인데도 지금까지 낙후됐던 것은 인구 50만이 넘는 수도권 대도시 중 유일하게 중전철이 없는 탓"이라며 "5호선 연장은 김포가 바야흐로 수도권 중심으로 성장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