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군 드론 관제체계 통합 추진…국토부 시스템과 연동도 검토

   

2025.07.24 10:2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군 드론 관제체계 통합 추진…국토부 시스템과 연동도 검토

 2025-07-24

PYH2024082007270001300_P4.jpg
테러 진압 훈련에 뜬 드론

 20일 오전 서울 강북구 우이신설 도시철도 주차장에서 열린 강북구 을지연습 테러 대응훈련에서 군 드론이 비행하고 있다. 2024.8.20 

원본프리뷰

국방부가 현재 각 군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드론 관제 체계를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드론 통합관제체계 구축 추진 전략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국내외에서 공중 무인 체계의 군 전력화 노력을 가속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각종 드론과 무인기는 향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레이더 반사 면적이 작은 소형 드론의 경우 공중에서 위치 식별이 어려워 기존의 항공교통관제 체계를 통한 통제가 불가능하고 유인기와의 충돌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 원활한 작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소형 드론에 대한 통제 체계가 필요하고, 특히 현재 각 군에서 개별적으로 운용 중인 체계를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방부는 이번 연구를 통해 드론 통합관제체계에 적용되는 드론의 범위를 재정의하고, 육군을 중심으로 각 군의 책임 구역에 대한 범위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단계적 체계 통합시 필요한 요소들과, 통합 후 관리 주체를 어떤 조직으로 할지 등도 검토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또 국토교통부의 드론 교통관리시스템(UTM) 연동을 고려한 통합 서버 구성 방안을 함께 살펴보기로 했다.

드론 관제 시스템이 중앙·국지방공통제소 등 공중 감시체계뿐 아니라 기존 항공교통관제체계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번 연구용역 발주는 지난해부터 추진된 것으로, 최근 불거진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과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끝)

| 박상민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Now

현재 군 드론 관제체계 통합 추진…국토부 시스템과 연동도 검토

07.24 | 박상민 기자

국힘 의원 40여명 충남 수해지역 방문…작업복 입고 복구지원

07.22 | 강요셉 기자

황운하 조국혁신당 의원, 세종시장 출마설에 "계속 검토 중"

07.22 | 서순복 기자

내란특검, '정치 탄압 수사' 尹 주장에 "논박할 가치 없다"

07.22 | 박상민 기자

김병기 "尹, 내란으로 국민이 겪은 것 이상의 고통 느끼게 해야"

07.18 | 박 상민 기자

국힘, '기재·산업·외교' 청문보고서 채택에 동의…"국익 차원"

07.18 | 강요셉 기자

李대통령 "국무총리 산하 '이태원참사 감사기구' 만들 것"

07.17 | 박상민 기자

"신정부 노동정책 변화 예고…기업들 이슈별 전략적 대응 필요"

07.17 | 박상민 기자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중진들 희생 절실"…인적쇄신 거듭 촉구

07.17 | 강요셉 기자

국민의힘 "권오을, 철새 정치인 길"…與 "보훈 전문성 충분"(종합)

07.1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