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北 GP 부실검증 의혹' 정경두·서욱 등 文정부 인사 무혐의

   

2025.07.31 10:4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北 GP 부실검증 의혹' 정경두·서욱 등 文정부 인사 무혐의

2025-07-31 

PYH2020082812540001300_P4.jpg
정경두·서욱 전 국방부 장관

2019년 국군의날 행사에서 경례하는 문재인 전 대통령(오른쪽부터)과 정경두 전 국방부 장관, 서욱 전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검찰이 '북한 최전방 감시초소(GP) 철수 부실검증 의혹'과 관련해 정경두·서욱 전 국방부 장관 등 문재인 정부 인사들에게 범죄 혐의점이 없다고 결론 내렸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하준호 부장검사)는 지난 24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허위공문서작성 등 혐의를 받던 정 전 장관과 서 전 장관을 무혐의 처분하고 불기소 결정했다고 31일 밝혔다.

함께 수사 요청된 박한기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 김도균 전 수도방위사령관 등 당시 국방부·합동참모본부 관계자 4명도 모두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다.

정 전 장관 등은 남북 평화 기류를 이어가기 위해 제대로 된 검증 없이 '북한군 GP가 불능화됐다'고 발표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남북은 2018년 9·19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 GP 11곳을 불능화하기로 합의했다. 10곳은 물리적으로 파괴하고 1곳에서는 병력과 장비 등을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당시 군 당국은 상호 현장검증을 통해 북한군 GP가 완전히 파괴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북한이 2023년 9·19 합의 전면 파기 선언 직후 빠른 속도로 GP 복원에 나서며 지하 시설 존재 가능성이 제기됐고 '부실검증' 의혹이 불거졌다.

감사원은 지난해 1월 전직 군 장성 모임인 대한민국수호예비역장성단의 공익감사 청구를 받고 올해 3월 부실 검증 정황을 포착했다며 검찰에 수사를 요청했다.

검찰은 이달 세종시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이어왔다.

(끝)

| 박상민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국힘 윤리위, '전대방해' 전한길에 경고 경징계…"잘못 뉘우쳐"

08.14 | 박상민 기자

李대통령 "위안부 문제 여전히 해결안돼…명예·존엄 회복 총력"

08.14 | 박상민 기자

국정위, 李정부 청사진 내놓고 '두달 여정' 마무리…"10년의 꿈"

08.14 | 박상민 기자

"국민 인식·종사자 처우·법인 자부심…노인복지 혁신 이끌 것"

08.11 | 서순복 기자

與,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상향 의견 정부에 전달…"숙고"

08.11 | 박상민 기자

해병특검, '채상병 사단장' 임성근 3차소환…과실치사 집중조사

08.11 | 박상민 기자

송언석 "전한길 죄질 매우 엄중…윤리위 조속히 결론내려야"

08.11 | 강요셉 기자

與, 법사위원장에 추미애 내정…"검찰개혁 노련하게 이끌 것"

08.06 | 박상민 기자

국힘 주진우, '주식 차명거래 의혹' 이춘석 고발…"특검해야" 송고시간 2025-08-06 10:27

08.06 | 강요셉 기자

피의자로 포토라인에 선 김건희…16개 의혹 실체 드러날까

08.06 | 박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