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NJ인터뷰 > 지방자치
지방자치

해수부 "2025년 수산물수출 30억불·식품산업 13조8천억원 달성"

   

2021.03.02 11:1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해수부 "2025년 수산물수출 30억불·식품산업 13조8천억원 달성" 


제2차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계획 공개…수산물 자급률 79%로 높여
 

AKR20210302065900530_01_i.jpg
해양수산부 세종청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해양수산부는 2025년까지 수산물 수출 30억 달러를 달성하고 수산식품 산업 규모를 13조8천억원으로 키우겠다고 2일 밝혔다.

    해수부는 2025년까지 수산업과 어촌의 발전목표와 실현 계획을 담은 '제2차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계획'(2021∼2025년)을 이날 공개했다.

    해수부는 2025년까지 수산식품 산업 규모를 13조8천억원으로 확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수산식품 산업 규모는 2019년 기준으로 11조3천억원 수준인데 앞으로 5년간 22.1%(2조5천억원)가량 더 성장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해 23억2천억 달러로 집계된 수산물 수출은 2025년까지 29.3% 증가한 30억 달러를 달성하고, 어업 부가가치는 2019년 기준 2조9천억원에서 5조1천억원으로 75.9%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산자원 조사를 강화하고, 불법어업을 더 강력하게 제재해 연근해 수산자원을 회복할 방침이다. 원양어선에는 안전펀드 제도를 적용해 안전성이 확보된 원양어선을 새로 건조한다.

    연안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석회조류가 확산해 암반을 하얗게 뒤덮는 갯녹음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해역에는 바다숲을 조성하고 낙지, 주꾸미, 문어 등 10종의 자원을 회복할 수 있는 산란장과 서식장 45곳을 2024년까지 추가로 만든다.

    어장에서 나온 폐어구와 침적 쓰레기를 수거하는 청정어장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환경오염 가능성이 높은 어장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등 재배치 사업도 진행한다.

    현재 72% 수준인 수산물 자급률을 79%까지 높이기 위해 대중성 어종 관리를 강화한다. 특히 갈치, 고등어 처럼 인기가 많은 어종은 상시 수급되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과 위생 수준을 높이고자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을 충족하는 수준으로 산지 위판장의 위생안전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위판장과 도매시장에 저온 경매장이나 냉동·냉장창고를 확충하고 특히 전남과 부산에는 '수산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해 소비자 맞춤형 수산식품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계획이다.

    어촌에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해 혁신을 만들어내는 '리빙랩' 시범사업을 실시해 수산업과 어촌 특성에 맞는 사회적 경제조직을 키운다.

    수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산지 유통단계부터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해외시장 조사와 현지 맞춤형 홍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수산식품을 수출하는 기업을 위한 온라인 박람회 개최와 해외 유통풀랫폼 진출 지원 등의 사업도 더욱 강화하는 한편 국제규범에 부합하는 불법어업 관리(IUU)를 이행하고, 수산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를 전담하는 기구도 만들 예정이다.

    아울러 수산바이오, 어선건조업 등 신산업을 육성하고 수산기업에 대한 창업 지원과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어촌관광과 낚시를 포함한 수산레저 산업도 더욱 활성화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어가소득 6천만원과 수산물 생산량 425만t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ohyes@yna.co.kr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NJ인터뷰 > 지방자치
지방자치

서남권 중추도시 살기좋은 도시로 도약한다

04.15 | 박상민 기자

변화와 혁신, 도전정신으로 금산의 비전을 군민들과 함께 실현한다

04.15 | 박상민 기자

자연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 살기좋은 봉화군으로 도약

2024.10.14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의왕시청] 친환경과 현대문화가 어울려 살기좋은 변화의 도시 의왕시

2024.07.10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춘천시청] 가족과 함께 머물고 싶은 도시, 가족이 행복한 도시 ‘춘천’, “내 곁에 춘천”

2024.05.14 | 장윤영 기자
Hot

인기 [영양군청] 살기좋은 친환경 도시 영양으로 군민과 함께 혁신의 꿈 이뤄간다

2024.05.14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진도군청] 편리한 교통망 강화가 시급, 지방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가 나서주길

2024.05.09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광양시청] 행복한 광양, 누구나 살고싶은 광양으로 비상한다

2024.04.24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횡성군청] 모두가 풍요롭고 다함께 누리는 조화로운 균형발전으로 경쟁력 강화하는 횡성

2024.04.24 | 박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