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NJ인터뷰 > 지방자치
지방자치

친일파 이해승 후손 땅 국고 환수 소송서 패소한 정부 항소

   

"헌법적 가치·친일재산귀속법 취지 비춰 법원과 다른 해석"

2021.12.09 10:04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친일파 이해승 (CG)
친일파 이해승 (CG)

 친일파 이해승의 후손이 소유한 서울 땅의 국고 환수 소송 1심에서 패소한 정부가 항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를 대리하는 정부법무공단은 지난 6일 서울서부지법 민사합의12부(이병삼 부장판사)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항소심은 서울고등법원에서 심리하게 된다.

법무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원고 측은) 친일재산귀속법상 '제3자'의 범위에 대해 헌법적 가치와 해당 법의 취지에 비춰 법원과 다른 해석이 있어 상급심의 판단을 받는 것이 옳다고 봤다"고 항소 이유를 밝혔다.

그는 "소송 전략상 자세한 항소 사유를 밝히기는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정부가 환수에 나선 토지는 서대문구 홍은동 임야 2만7천905㎡로 축구장 4개와 맞먹는 넓이다. 올해 공시지가 기준으로는 21억3천여만원 상당이다.

철종의 아버지 전계대원군의 5대손인 이해승은 일제로부터 조선 귀족 중 최고 지위인 후작 작위 등을 받았고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에서 친일행위자로 지목됐다.

앞서 1심 법원은 정부가 이해승의 손자 이우영(82) 그랜드힐튼호텔 회장을 상대로 낸 소유권이전등기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

법원은 '제3자가 선의로 취득하거나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취득한 경우는 국가 귀속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친일재산귀속법 제3조 1항의 예외 단서를 근거로 토지 소유권의 정당성을 판단했다. 이 법에는 '제3자'에 대해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않아 친일행위자의 상속인을 제3자의 범위에서 제외할 이유는 없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이해승은 홍은동 임야를 1917년 처음 취득했고, 1957년 토지 소유권이 손자인 이 회장에게 넘어갔다. 이후 근저당권이 설정돼 있던 이 땅은 1966년 경매에 부쳐져 은행 소유로 바뀌었다가 그 이듬해 이 회장이 이 땅을 도로 사들이면서 소유권이 몇 차례 바뀌었다.

법원은 이런 사정을 고려해 "친일재산인지 모르고 취득했거나, 알았더라도 정당한 대가를 내고 취득한 경우에는 유효하게 권리를 보유할 수 있다"며 이 회장의 손을 들어줬다.

| 임성호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NJ인터뷰 > 지방자치
지방자치

남욱 "김만배, 2012년 민주당 의원 측에 2억 전달"

2022.02.16 | 김주환 기자

'남북정상 회의록 폐기' 백종천·조명균 다시 대법 재판

2022.02.15 | 황윤기 기자

靑 출신 인사들, '尹 적폐수사' 발언 맹공…"배신·거짓말"(종합)

2022.02.14 | 임형섭 기자

"중대재해법 제정 계기 됐지만…" '솜방망이 처벌' 비판 목소리

2022.02.11 | 정찬욱 기자

한변, '공수처 통신조회' 국가배상소송 제기

2022.02.09 | 황윤기 기자

與김승원 "尹, 특활비 147억 현금 사용"…국힘 "허위 마타도어"

2022.02.08 | 김연정 기자
Hot

인기 대구경북의 미래가치 창조 중심으로 비전을 열어가는 대구경북연구원

2022.02.07 | 박상민 기자

미래신산업육성과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으로 지역신생 경제에 견인역할을 하겠다.

2022.02.07 | 취재부
Hot

인기 글로벌시대 환동해권 경제 산업중심과 관광메카로 급부상하는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

2022.02.07 | 박상민 기자

미래를 선도하는 의료산업의 허브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MEDI hub)은 세계 의료강국으로 도약한다.

2022.02.07 | 박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