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NJ인터뷰 > 지방자치
지방자치

김성태 '딸 KT 부정채용' 결론은…오늘 대법원 선고

   

감 증인신청 무마해주고 딸 정규직 일자리 얻은 혐의…1심 무죄→2심 유죄

2022.02.17 09:2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김성태 전 의원
김성태 전 의원

 

KT에 자신의 딸을 채용해달라고 청탁한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무죄, 2심에서 유죄를 선고받은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김성태(64) 전 의원이 17일 대법원의 판단을 받는다.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된 김 전 의원의 상고심 선고기일을 이날 오전으로 지정했다.

김 전 의원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이던 2012년 국정감사 기간 이석채 전 KT 회장의 증인 채택을 무마해주는 대가로 딸의 정규직 채용이라는 뇌물을 받은 혐의로 2019년 7월 재판에 넘겨졌다.

그의 딸은 2011년 파견 계약직으로 KT스포츠단에 입사해 일하다 KT 신입사원 공개채용에서 최종 합격해 정규직이 됐다.

1심은 딸이 부정한 방식으로 채용된 점을 인정하면서도 김 전 의원 본인이 이익을 제공받은 것은 아니니 뇌물수수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2심은 김 전 의원과 함께 사는 딸이 취업 기회를 얻었다면 사회통념상 김 전 의원이 뇌물을 수수한 셈이라고 보고 유죄로 판단을 뒤집었다.

당시 재판부는 "국회의원이 딸의 취업 기회를 뇌물로 수수하는 범행은 그 자체로 매우 부정한 행동이고, 중진 국회의원이자 국회 환노위 간사로서 지위와 책임을 고려할 때 비난 가능성이 크다"고 질타했다.

다만 "8년 전의 범행으로 당시에는 자녀의 부정 채용만으로도 뇌물죄로 처벌될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지 않았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김 전 의원은 이런 2심 판결을 두고 "날조된 검찰의 증거들로 채워진 허위 진술과 허위 증언에 의해 판단된 잘못된 결과"라고 반발하며 2020년 11월 대법원에 상고했다. 그는 지난해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 캠프에서 직능총괄본부장을 맡기도 했으나 딸의 특혜 채용 논란으로 사퇴했다.

이석채 전 KT 회장
이석채 전 KT 회장

대법원은 이날 김 전 의원과 함께 기소된 이 전 회장에 대한 판결도 내린다.

이 전 회장은 사회 유력인사가 청탁한 지원자들을 부당한 방법으로 채용시키고 김 전 의원에게 뇌물을 준 혐의로 기소됐다.

1심은 업무방해 혐의만 유죄로 보고 뇌물공여죄는 무죄로 판단했지만, 2심은 모든 혐의를 유죄로 인정했다. 1심에서 징역 1년의 실형이 선고된 이 전 회장은 항소심에서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정성조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NJ인터뷰 > 지방자치
지방자치
Hot

인기 김후곤 서울고검장 "검수완박법 문제 많아…부작용 줄여야"

2022.05.23 | 박재현 기자
Hot

인기 '친윤'이냐 '비윤'이냐…'尹사단' 이끌 검찰총장 누구

2022.05.20 | 조다운 기자
Hot

인기 술집서 흉기 휘두른 외국인…잡고 보니 마약 투약한 불법체류자

2022.05.13 | 정경재 기자

익산 아파트서 전 동거녀와 남친 살해하려 한 40대 검거

2022.05.10 | 임채두 기자
Hot

인기 우리은행 횡령 직원, 선물옵션 투자로 318억원 손실(종합)

2022.05.09 | 김치연 기자
Hot

인기 문대통령, 김오수 사의 수용…'검수완박' 의결 사흘만(종합)

2022.05.06 | 임형섭 기자
Hot

인기 '614억원 횡령' 우리은행 직원·동생 내일 검찰 송치

2022.05.06 | 김치연 기자
Hot

인기 어린이날 에버랜드서 '아이지킴 키재기판' 캠페인

2022.05.04 | 이정현 기자
Hot

인기 학대받는 아이, 스스로 부모와 연 끊을 수 있다(종합)

2022.05.03 | 이대희 조다운 기자
Hot

인기 박홍근 "국무회의 연기 요청한 바 없어…정부가 판단할 문제"

2022.05.02 | 정아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