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8일(토)
  • 글이 없습니다.

 

홈 > NJ인터뷰 > 공기관
공기관

현재와 미래를 선도하는 최고의 인재 양성의 요람,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_이철수 이사장

2024.10.14 14:0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81960_6147.jpg
폴리텍대학_이철수 이사장


한국폴리텍대학이 중장기적으로 추구하는 비전은? 


한국폴리텍대학(이하 ‘폴리텍대학’)은 직업교육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대한민국의 발전에 기여해 온 종합대학입니다. 40여 개 캠퍼스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한민국 산업발전과 기술혁신의 역사를 읽을 수가 있습니다. 전통산업에서부터 신산업에 이르기까지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일자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더욱 커진 요즘, 폴리텍대학은 존재 의의와 역할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현장에서 직업교육을 제공한 기본을 토대로 정부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에 발맞춰 ‘수요자 중심의 한국형 평생직업교육 선도 모델’로 대전환하려고 합니다. 


K-SHIFT(Korea Skill-up for Humanity, Innovation and Future Technology)로, ①더 많은 사람에게 ②평생에 걸쳐 ③인프라 개방과 공유를 통해 ④평생직업교육을 선도하고 확산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청년, 여성, 중장년, 외국인, 재직자 등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폴리텍대학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누릴 수 있습니다.


폴리텍대학은 교육을 통한 포용 정책으로 대한민국의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해 나갈 것입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82035_1755.jpg


미래인재양성에 대한 이사장님의 교육철학과 평소 신념은?


고등직업교육을 선도하는 대학은 과거 공급자 위주의 방식에서 학습수요자 중심의 접근방식으로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합니다. 대학은 학습수요자가 인생을 설계하는데 조력자 내지 동반자 역할을 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소통의 가치는 매우 소중합니다.


학자 및 중노위와 경사노위 공익위원으로서 노동 시장에서 활동해 온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소통이 문제 해결, 의사 결정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은 사회를 변화시키고 재건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구인과 구직 사이에 발생하는 필수불가결한 괴리점은 직업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 있고, 그 부분이 폴리텍대학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직업교육에 대한 편향적 인식을 버리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기술 습득의 도구로 활용한다면 노동을 통한 개인의 발전을 이룰 수 있고 그것이 교육의 가장 큰 가치이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폴리텍대학에서도 지금까지 저희 신념인 소통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직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더 좋은 해답을 얻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폴리텍에서 운영하고 있는 직업교육 및 훈련 내용은?


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근거, 국민의 평생에 걸친 직업능력개발을 지원하는 공공 직업교육기관입니다. 현재 전국 40개 캠퍼스에서 다양한 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크게 학위 과정, 비학위 과정, 재직자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한, (2년제학위과정)은 반도체·바이오 등 19계열, (전문기술과정)은 산업설비·전기 등 16개 계열, (하이테크과정)은 정보통신IT 등 18개 계열로 나뉘어 다양한 분야의 커리큘럼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82091_9743.jpg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춘 학과신설 현황은?​


폴리텍대학은 산업전환 및 인력수요 전망에 따라 신산업분야 교육훈련 인프라를 매년 개편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정책에 따른 (국정과제 81번)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에 맞춰 학과 신설·개편을 통해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분야의 경우 인력수요에 맞춰 前공정·後공정분야 학과 신설을 통한 공정별·수준별 인력양성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즉 공정 가치사슬별 세분화를 통해 종합 인력양성 체계로 교육이 진행됩니다. 


AI+x분야의 경우 인공지능(AI)과 타 분야(x)를 융합하는 디지털 신산업분야 학과 신설(‘22~’24년 年 5개)을 추진하였습니다. 


학과 신설의 경우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수요분석, 학과 공모·심의, 기업체 의견 반영, 시설·장비 구축 등 체계적인 계획하에 운영되고 있고, 적시에 신산업분야의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82107_6176.jpg


지역 사회와의 협업 및 지원책은?


폴리텍대학은 민간직업교육기관, 직업계고, 전문대, 지역사회에 폴리텍 대학 인프라를 개방하고 공유해 ‘국민 곁의 평생직업능력개발 파트너’로서의 ‘오픈 캠퍼스’ 역할을 확대할 것입니다. 


‘23년부터 시작한 꿈드림공작소(전국 35개)의 경우 시설 및 장비를 민간에 공유해 지역사회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25년부터는 기존의 학과·과정 개념을 탈피하여 지역 산업수요에 맞춰 적시적기 인력공급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탄력적인 양성체계로 운영하려고 합니다.


지역 사회 특성을 반영한 뿌리산업에 특화된 3개 캠퍼스(남인천, 포항, 순천)*에 각 1개씩 뿌리산업특화 교육센터를 구축하여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조하여 운영할 계획입니다. 


29be71e4e7e5107e106ee6a2cd921da6_1728895129_3382.jpg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82176_5873.jpg
 

|

기사에 대한 의견

AnnaPurna 2024.10.29 11:33
한국폴리텍대학의 제2의 도약을 응원합니다!!
기술강국 코리아!!
기술선도 코리아!!
기술인력 양성의 메카, Korea Polytechnics, 한국폴리텍대학!!
K-기술교육의 해외 전파, 글로벌화, 글로벌 러닝플랫폼 구축,
제조업 강국의 지위를 받침 삼아, 글로벌 기술교육 생태계에 기여하는 한국폴리텍대학!!

홧팅!!!
홈 > NJ인터뷰 > 공기관
공기관

수협중앙회 노동진 회장, 차기 정부에 수산업계의 숙원 건의 위해 4개 부문 26개의 정책과제 발굴

05.14 | 박상민 기자

대한민국 식품산업 전문기관으로서 전국 식품기업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제공한다

04.15 | 박상민 기자

사회적 책임과 가치 실천으로 미래 100년을 열어가는 강진완도축협

04.15 | 박윤진 기자
Hot

인기 살기 좋은 최상의 도시 고흥 변화와 발전으로 행복한 고흥도시로 도약

2024.12.27 |

기후 변화의 대책과 어부들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든다.

2024.12.27 |
Now

현재 현재와 미래를 선도하는 최고의 인재 양성의 요람, 한국폴리텍대학

2024.10.14 |
Hot

인기 활기찬 새어촌, 경쟁력 있는 건강한 경인서부수협으로 발전시킨다

2024.10.14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경쟁력있는 수협으로 도약 조합원들의 최대 이익으로 환원

2024.10.14 | 박윤진 기자
Hot

인기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사람과 자연 모두 행복한 제주의 기업지원 전문기관 제주경제통상진흥원

2024.07.17 | 박윤진 기자
Hot

인기 [양평축협] 조합원과 고객들에게 최고의 이익환원과 최상의 서비스로 앞서가는 모범사례 양평축협

2024.07.17 | 박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