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NJ인터뷰 > 공기관
공기관

단일화 호남 영향은…민주 "지지층 결집" vs 국힘 "지지율 흡수"

   

여야 입장 따라 상반된 해석…단일화 영향 사전투표 총력

2022.03.03 14:2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악수하는 윤석열·안철수
악수하는 윤석열·안철수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단일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대선을 불과 1주일도 남겨두지 않고 전격적으로 이뤄진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의 단일화가 호남 표심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호남에 공을 들이는 윤 후보와 호남에서 '녹색(중도) 돌풍'을 일으킨 적이 있는 안 후보의 결합이 미칠 영향에 대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모두 각자에게 유리하게 평가하며 단일화 이후 선거 전략을 짜는 데 부심하고 있다.

민주당은 그간 예전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호남 표심이 단일화로 일대일 구도가 형성되면서 재결집할 것이라 기대한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3일 오전 전남대와 조선대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던 집중 유세를 취소하고 선거대책위원회, 지역 국회의원, 당원 등이 모인 가운데 긴급 대책 회의를 열어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민주당은 선대위와 지역위원회별로 비상 체제에 돌입하고 '단일화 효과'를 차단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지역에서 상당한 지지세가 있는 안철수 후보의 표가 흡수될 것이라 기대하며 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선거 전략을 짜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반(反)민주당' 정서에 기반한 안 후보의 호남 표가 윤 후보에게 올 것이라고 분석한다.

적극적인 호남 공략으로 상당한 지지세를 확보한 데다 여기에 안 후보의 표가 더해진다면 호남 득표율이 목표치인 30%를 넘어 40%까지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양당은 단일화 이후 곧바로 진행되는 사전투표(4∼5일)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민주당은 지지층 결집으로 단일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의힘은 단일화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전투표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강수훈 광주 총괄선대본부장은 "구도가 선명해지니까 분산된 호남 표가 민주당으로 결집할 것이다"며 "점점 더 결집하는 표를 끌어모으기 위해 사전투표율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송기석 광주 선대위원장은 "전국 기준으로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호남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며 "그래서 다른 지역보다 호남에서 단일화 영향력이 더욱 클 것인데, 안 후보의 표는 민주당이 아닌 국민의힘으로 올 것이다"고 밝혔다.

2017년 19대 대선 당시 안철수 후보는 전체 득표율 21.41%를 기록해 문재인(41.08%), 홍준표(24.03%) 후보의 뒤를 이었다.

하지만 광주(30.08%)·전남(30.68%)에서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문재인(광주 61.14%·전남 59.87%) 후보의 뒤를 이었다.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 소속이었던 홍준표 후보는 광주 1.55%, 전남 2.45%에 그쳤다.

2016년 총선에서 안철수 후보가 중심이 된 국민의당은 호남 의석 18석 중 16석을 싹쓸이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 장덕종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NJ인터뷰 > 공기관
공기관

尹대통령 유감 표명에 선 긋는 대통령실…"본질은 자막 조작"

2022.09.29 | 한지훈 기자

법무부-국회, '검수완박' 놓고 헌재서 5시간 정면충돌

2022.09.28 | 정성조 최재서 기자
Hot

인기 국방부 "홈페이지 해킹된 전쟁기념관에 軍수준 보안 권고"

2022.09.21 | 하채림 기자

"정치적 쇼는 안해"…尹, '담대한 구상' 힘실으면서도 신중론

2022.08.17 | 정아란 기자

권성동, 尹 100일 회견에 "국민 제대로 섬기겠다는 의지 표명"

2022.08.17 | 홍지인 최덕재 기자

尹대통령 "공정거래법 집행에 투명성·예측가능성 강화"

2022.08.16 | 정아란 기자

당정, 오전 협의회 열어 '규제혁신' 방안 논의

2022.08.05 | 김연정 기자

정부 '식물위원회' 막는다…5년 이내 존속 '일몰제' 도입

2022.08.05 | 김윤구 기자
Hot

인기 디자인권·실용신안권 침해행위 피해자 고소 없이도 수사 가능

2022.05.30 | 유의주 기자
Hot

인기 소방·경찰관 '공무상 재해 인정' 쉬워진다

2022.05.27 | 김윤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