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NJ인터뷰 > 공기관
공기관

이재명 "여론조사 결과, 기대에 못 미쳐 성찰…힘내겠다"(종합)

   

SNS에 "尹 4대강 재자연화 비효율적? 녹조라테 계속하냐"

2022.02.18 09:1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17일 발표된 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보다 오차범위 밖으로 뒤진다는 결과가 나온 것과 관련,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점에 대해 성찰하고 노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노원구 유세하는 이재명 후보
노원구 유세하는 이재명 후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7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롯데백화점 노원점 앞에서 유세를 펼치고 있다. 2022.2.17 

이 후보는 이날 모바일앱 '이재명 플러스'에 올라온 'NBS 여론조사 결과를 보니 이번 대선은 승산 없어 보이네요'라는 글에 단 답글에서 "오늘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에 실망이 많으신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4∼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이날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 4자 가상대결에서 윤 후보는 40%, 이 후보는 31%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두 후보의 격차는 9%포인트로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이다.

이와 관련해 글쓴이는 "상대방 후보는 상상을 초월하는 행동을 해도 지지율이 끄떡없다"며 "이 정도면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에 대한 탄핵 수준 아닌가"라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답글을 통해 "지지율은 파도와 같아서 언제나 출렁이는 것"이라며 "결국 국민께서 누군가에 대한 책임을 묻는 선택을 할 것인지, 아니면 나의 삶과 미래를 선택할 것인지 현명하게 판단하실 거라고 믿는다"고 썼다.

이 후보는 "대통령이 돼서 더 나은 변화, 더 좋은 변화를 보여드리겠다"며 "더 힘을 내겠다. 3월 10일, 국민 여러분과 함께 새로운 세상의 첫날을 반드시 시작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 기사에 인용된 NBS 여론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활용한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20.3%다.

한편 이 후보는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4대강 재자연화 폐기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 이날 밤 SNS에 올린 글에서 "이명박 정권의 4대강 파괴사업을 계승하는 것인가"라며 맹비난했다.

그는 "4대강 재자연화 폐기라니, 강물을 가둬 '녹조라테'(처럼) 독성 오염(시키는 일을) 계속하겠다는 뜻이냐"라며 "녹조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고 이 물을 농수로 사용한 농작물조차 독성을 띠는 현실을 외면하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기능을 상실한 전국 곳곳의 보들을 해체해 강물이 흐르게 하겠다"며 "다시 강물이 깨끗이 흐르고 뭇 생명이 더불어 살아가도록, 4대강 재자연화에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강민경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NJ인터뷰 > 공기관
공기관

尹대통령 유감 표명에 선 긋는 대통령실…"본질은 자막 조작"

2022.09.29 | 한지훈 기자

법무부-국회, '검수완박' 놓고 헌재서 5시간 정면충돌

2022.09.28 | 정성조 최재서 기자
Hot

인기 국방부 "홈페이지 해킹된 전쟁기념관에 軍수준 보안 권고"

2022.09.21 | 하채림 기자

"정치적 쇼는 안해"…尹, '담대한 구상' 힘실으면서도 신중론

2022.08.17 | 정아란 기자

권성동, 尹 100일 회견에 "국민 제대로 섬기겠다는 의지 표명"

2022.08.17 | 홍지인 최덕재 기자

尹대통령 "공정거래법 집행에 투명성·예측가능성 강화"

2022.08.16 | 정아란 기자

당정, 오전 협의회 열어 '규제혁신' 방안 논의

2022.08.05 | 김연정 기자

정부 '식물위원회' 막는다…5년 이내 존속 '일몰제' 도입

2022.08.05 | 김윤구 기자
Hot

인기 디자인권·실용신안권 침해행위 피해자 고소 없이도 수사 가능

2022.05.30 | 유의주 기자
Hot

인기 소방·경찰관 '공무상 재해 인정' 쉬워진다

2022.05.27 | 김윤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