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스페셜리포트 > 스페셜리포트
스페셜리포트

해양강국으로 가는 전문인력 양성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실현된다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김민종 원장

2024.10.14 12:4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77424_3188.jpg

한국해양수산연수원_김민종 원장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해양수산종사자 교육·훈련 서비스를 통해 해양 안전문화 조성과 해양수산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1998년 1월 설립되었다. 그간 연수원은 선원(해기사)을 포함한 해양수산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훈련,업계 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공급을 통해 해양수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으며, 세계 최고수준의 교육서비스로 국제적으로도 명성이 높은 해양수산전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환경변화와 현장수요에 맞는 인력양성과 함께 미래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혁신성장을 통해 안전한 해양수산강국의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해양수산종사자 교육·훈련 전문기관으로 끊임없이 발전해 나가고 있다. 아울러 지역사회 및 해운산업계와의 동반성장과 상생을 최우선가치로 삼아 ESG 경영의 실천에도 적극 앞장서 국가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써 역할을 다하고 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77458_1948.jpg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소개해 주신다면.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해양수산 관련 사업종사자의 교육훈련과 해기사 등 국가자격검정 업무를 수행하는 해양수산부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우리 연수원은 1965년 국제식량기구(FAO)의 원조로 설립된 ‘원양어업기술훈련소’와 1983년에 설립된 한국해기연수원을 1998년 한국해양수산연수원으로 통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선원 재교육기관으로서 해양수산관련 산업종사자의 교육·훈련, 초급해기사 양성 등 정부 선원정책 수행 지원과 해기사 등 국가기술자격검정 업무, 해운항만 및 어업기술의 연구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수원은 부산 영도구에 본원이 소재하고 있고, 부산 남구에 용당캠퍼스와 목포에 목포분원, 인천에 인천사무소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77484_5023.jpg


해양수산연수원의 주요 핵심사업은.


해양수산연수원의 주요사업은 해양수산관련 사업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과 초급해기사 양성, 해기사 등 국가자격시험 업무입니다.


먼저, 해양수산관련 사업종사자의 교육훈련은 국제해사기구(IMO)의 STCW 국제협약과 선원법 및 선박직원법 등 국내법에서 요구하는 법정교육과 해운선사나 국가기관 등의 요청에 따른 맞춤형 전문교육인 수탁교육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법정교육은 안전교육, 직무교육, 자격취득교육으로 세분화 할 수 있으며, 수탁교육은 선박조종시뮬레이터 교육, 선박안전관리자 교육 등 다양한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또한, 양성교육으로는 오션폴리텍 해기사 양성교육(4개과정 260명)과 해양·수산계 고등학생 대상 승선실습교육(실습선 3척 이용, 연간 약 500명 실습)이 있습니다.


해기사 국가자격시험은 선장, 기관장, 항해사, 기관사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선박직원들의 자격시험이며, 연수원에서는 해기사, 의료관리자, 선박조리사, 도선사, 수산질병관리사, 산지경매사, 도선사, 선박안전관리사 등 총 7종의 시험을 연간 약 75회 시행하고 있습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77506_6519.jpg


현재 국내 해기사 부족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연수원에서는 오션폴리텍 해기사 양성과정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션폴리텍 해기사 양성과정은.


연수원에서는 1991년부터 단기해기사 양성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해 왔으며, 2010년 이를 새롭게 개편하여 오션폴리텍 해기사 양성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션폴리텍 해기사 양성과정은 해양대, 해사고 등 해양·수산계 학교 졸업자가 아닌 일반계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해기사 양성과정으로 상선 3급과정과 5급과정, 어선 5급과정과 6급과정 등 총 4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 과정은 교육비, 교재비, 숙식비 등 전액 국비로 무료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도 239명이 합격하여 이중 209명이 교육중이거나 수료하여 선사에서 실습중입니다.


아울러 동 교육과정의 안정적 승선실습을 위해 6,500톤급 친환경 대체실습선 신조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수원에서는 ODA 사업 등 국제교류 활동도 활발히 시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관련 내용은.


내국인 해기사의 지속적 감소 및 외국인 해기사 수요 증가에 발맞춰 연수원에서는 내국인 선원 재교육뿐만 아니라 국내로 송입되는 외국인 선원 교육훈련, 국제승선실습 확대 등 국제협력사업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4번째 실시하는 ‘국제승선실습 프로그램’은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자체 실습선이 없는 개발도상국 해양대학교 학생들을 초청하여 연수원의 실습선과 교육훈련 시설을 활용하여 양질의 실무적 해기교육을 제공하는 국제협력 프로그램입니다. 


이를 통해, 연수원이 향후 세계적 명성의 국제해사교육훈련 기관으로 도약하고자 하며, 외국인 실습생의 국내선사 취업기회 제공을 통해 국내 선원 감소문제 해소에도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최초로 태평양도서국 해양공무원 20명과 아시아·중남미 국가의 해기교육 교원 21명을 초청하여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연수생들이 프로그램 수료 후 본국으로 돌아가 한국에서 습득하고 경험한 해기교육 시스템을 각 국가에 전파하여 보다 선진화된 해양교육 시스템을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지역에서 양질의 해기사가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국제적으로도 기여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41e6e89cb7fb697b5674840ba7eb9d14_1728877528_816.jpg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연수원에서 준비하고 있는 대응책은.


4차 산업혁명은 로봇이나 인공지능을 통해 실제와 가상이 통합돼 사물을 자동적·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운행, 가상현실, 드론 등이 핵심 개념입니다.


연수원은 이러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교육* 및 R&D 연구**를 시행하고 있으며,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선박교육, 여객선교육 등 교육을 시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한 교육과정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교육현장 구현으로 국민에게 신뢰받기 위한 경영방침 내용은.


중대재해처벌 시행으로 안전에 대한 공공기관의 역할이 특히 강조되고 있어‘안전품질 경영’을 중요한 경영목표로 설정하고 교육생, 내부직원, 협력사 근로자 모두가 안전한 교육현장을 구현 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장의 안전을 강화하고자 매월 기관장 중심의 4·4·4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경영진 주재 ‘블랜디드 안전점검회의’를 매월 개최하여 용당캠퍼스와 목포분원, 실습선 등 지역에 위치한 사업현장까지도 원격 화상회의를 통해 꼼꼼히 관리 및 점검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지역 내 주민과 근로자들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해양클러스트 안전협의체’를 구성·운영하여 지역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합동안전점검, 재난발생 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협업방안 등 유관기관 안전협업체계도 구축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대재해 예방을 위하여 기관의 특성에 부합하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이행하고 있으며, 위험성평가를 확대 운영하여 자기규율 예방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부임이후 현재까지 3년간 산업재해 발생건수가 0건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제안전표준인 ISO 45001과 국내안전표준인 KOSHA-MS 등 2개의 인증을 동시에 만족하는 기관으로 모범적 안전관리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 박상민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